카카오톡 캠페인 만들기 3단계 옵션 설정
카카오톡 캠페인 설정 시 단일 발송과 반복 발송 중 하나의 스케줄 발송 유형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발송 유형 > 단일 발송

1. 발송 유형
단일 발송 : 설정한 날짜·시간에 해당 캠페인을 한 번만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반복 발송 : 반복 주기 및 발송 시간을 선택하여 해당 캠페인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2. 날짜·시간
캠페인을 실행하여 실제 메시지를 발송할 날짜와 시간을 설정합니다.
광고성 메시지 야간 발송 제한으로 20:50 ~ 08:00 에는 카카오톡 친구톡 발송이 불가능합니다.
3. 대체 발송

친구톡 발송 실패 시 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한 고객이면 SMS로 대체되어 발송됩니다.
텍스트 본문이 60 Bytes 이하인 경우 SMS, 60 Bytes 초과인 경우 LMS로 전환됩니다. (광고, 무료수신거부 번호 포함하여 90 Bytes 기준)
최대 1970 Bytes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광고, 무료수신거부 번호 포함하여 2,000 Bytes 기준)
카카오톡 캠페인 분석 리포트에서 친구톡과 대체 발송 SMS의 성과를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 발송 SMS의 클릭, 주문 성과를 추적을 위해서 단축 URL 사용을 권장합니다.
단축 URL에 관한 설명은 SMS 캠페인 만들기 2단계 메시지 설정 을 참고해 주세요.
정보통신망법에 의거, 메시지 첫 줄에 (광고), (전송자 명칭) 정보는 필수 기재 사항입니다. 위반 시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체 발송 텍스트에 이모지를 포함하는 경우 발송이 실패되므로 이모지는 삭제하고 발송해 주세요.
4. 예상 발송 비용
이전 발송으로 확인된 카카오톡채널 추가 고객을 대상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대체 발송 여부에 따라 실제 발송 비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추가 여부는 발송을 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어떤 고객을 타겟팅하여 카카오톡 발송 성공 시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한 회원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발송에 실패한 경우, 채널을 추가하지 않은 고객이라고 판단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카카오톡 채널 추가 여부를 집계하여 예상 발송 비용에 반영합니다.
이전 발송으로 채널 추가하지 않음이 확인된 고객도 이전 발송 이후 새롭게 채널을 추가했다면 발송이 성공할 수 있으며, 예상 발송 비용보다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 발송으로 채널 추가가 확인되었지만 이후 채널을 차단한 고객에게는 발송이 실패할 수 있으며, 예상 발송 비용보다 비용이 적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발송 비용이 아니므로 타겟 볼륨과 비용 예상에 참고해 주세요.
대체 발송 기능 사용 시 타겟팅한 고객 중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지 않은 고객과 채널 추가가 확인되지 않은 고객에게는 대체 발송 SMS가 발송되는 것을 가정하여 비용이 계산됩니다. 정확한 발송 비용이 아니므로 타겟 볼륨과 비용 예상에 참고해 주세요.
발송 유형 > 반복 발송

1. 발송 유형
단일 발송 : 설정하신 날짜·시간에 해당 캠페인을 한 번만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반복 발송 : 반복 주기 및 발송 시간을 선택하여 해당 캠페인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2. 발송 기간
수동 종료 전까지 : 캠페인 진행 시점부터 수동으로 캠페인을 종료할 때까지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기간 지정 : 캠페인을 설정한 특정 기간 동안에만 진행합니다.
3. 반복 설정
캠페인 반복 주기 및 시간을 설정합니다. 일별, 주별, 월별 반복 설정이 가능합니다.
(1) 일별 반복 : 발송 기간동안 캠페인을 반복할 일 간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주별 반복 : 발송 기간동안 캠페인을 반복할 주 간격과 해당 주에 반복할 특정 요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요일 복수 선택 가능)

(3) 월별 반복 : 발송 기간동안 캠페인을 반복할 월 간격과 해당 월에 반복할 특정 날짜(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특정 날짜(일) 설정 예) 발송 기간 "2024.02.05 ~ 2025.02.05", 반복 "월별, 매 1개월 마다 1일"로 설정한 경우▶ 2024.03.01 / 2024.04.01 / . . . / 2025.01.01 / 2025.02.01 에 캠페인 발송
4. 발송 시간
반복 주기에 맞춰 메시지가 발송될 시간을 설정합니다.
5. 대체 발송

친구톡 발송 실패 시 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한 고객이면 SMS로 대체되어 발송됩니다.
텍스트 본문이 60 Bytes 이하인 경우 SMS, 60 Bytes 초과인 경우 LMS로 전환됩니다. (광고, 무료수신거부 번호 포함하여 90 Bytes 기준)
최대 1970 Bytes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광고, 무료수신거부 번호 포함하여 2000 Bytes 기준)
카카오톡 캠페인 분석 리포트에서 친구톡과 대체 발송 SMS의 성과를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 발송 SMS의 클릭, 주문 성과를 추적을 위해서 단축 URL 사용을 권장합니다.
대체 발송 텍스트에 이모지를 포함하는 경우 발송이 실패되므로 이모지는 삭제하고 발송해 주세요.
정보통신망법에 의거, 메시지 첫 줄에 (광고), (전송자 명칭) 정보는 필수 기재 사항입니다. 위반 시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단축 URL에 관한 설명은 SMS 캠페인 만들기 2단계 메시지 설정 을 참고해 주세요.
6. 예상 발송 비용
이전 발송으로 확인된 카카오톡채널 추가 고객을 대상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대체 발송 여부에 따라 실제 발송 비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추가 여부는 발송을 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어떤 고객을 타겟팅하여 카카오톡 발송 성공 시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한 회원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발송에 실패한 경우, 채널을 추가하지 않은 고객이라고 판단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카카오톡 채널 추가 여부를 집계하여 예상 발송 비용에 반영합니다.
이전 발송으로 채널 추가하지 않음이 확인된 고객도 이전 발송 이후 새롭게 채널을 추가했다면 발송이 성공할 수 있으며, 예상 발송 비용보다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 발송으로 채널 추가가 확인되었지만 이후 채널을 차단한 고객에게는 발송이 실패할 수 있으며, 예상 발송 비용보다 비용이 적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발송 비용이 아니므로 타겟 볼륨과 비용 예상에 참고해 주세요.
대체 발송 기능 사용 시 타겟팅한 고객 중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지 않은 고객과 채널 추가가 확인되지 않은 고객에게는 대체 발송 SMS가 발송되는 것을 가정하여 비용이 계산됩니다. 정확한 발송 비용이 아니므로 타겟 볼륨과 비용 예상에 참고해 주세요.
Last updated